책소개 이 책은 역사·경제·정치·사회·윤리 다섯 축을 한 장의 사고 지도로 묶어 보여줍니다. 핵심 개념(생산수단, 공급과잉, 국가·계급, 좌/우, 의무론·공리주의 등)을 통해 복잡한 이슈를 간단한 프레임으로 해석하게 만들어주는 안내서입니다.
읽고 나면 남는 것
역사: 권력은 ‘생산수단’에서 나오고, 자본주의는 ‘공급과잉’으로 움직인다—전쟁과 유행까지 연결됨. 경제: 자본주의·공산주의·사회주의를 소유(생산수단/잉여물) 관점으로 명료하게 구분. 정치: 보수=시장자유, 진보=정부개입이라는 정책 축으로 뉴스와 정당을 해석. 미디어·사회: ‘객관적 미디어’는 환상일 수 있다—형식이 메시지를 만든다는 경계심. 윤리: 칸트의 정언명법(보편화 테스트)과 공리주의(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로 행동 판단의 기준을 제공. 마음에 드는 문구들 1. 역사 생산수단을 소요하면 생산물을 소유하게 되고, 그 생산물을 이용해서 권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재미있는 일이다. 생산수단과 생산물은 단순한 물질이다. 그런데 그런 물질이 비물질적인 사회적 관계로서의 권력 관계를 발생시킨 것이다. 세계의 주인공은 안타깝게도 서양인임이 분명한 것 같다. 중국이 떠오르고 있으며, 세계의 패권을 놓고 미국과 겨룰 것이라는 분위기가 동아시아를 뜨겁게 달구고 있으나, 중국의 변방에 붙어 있는 한국에서는 아직도 취업을 위해 영어를 공부하고, 할리우드 영화를 보며, 서구에서 들어온 종교인 기독교와 천주교를 믿고, TV나 잡지광고의 이상적인 모델로 서구인이 등장하는 것을 아무런 의심도 하지 않고 감상한다. 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로마에 뿌리를 두고 있는 역사적 사조로서, 우리가 그리스로마 신화라고 하면 떠오르는 제우스나 아폴론 등의 다신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다. 반면 헤브라이즘은 이스라엘 민족과 야훼나 여호와라고 불리는 유일신인 하나님과의 계약에 대한 역사적 흐름으로서, 우리가 그리스도교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들을 말한다. 쉽게 정리하면 서구는 두가지 문화를 뿌리로 한다. 그리스 로마신화와 그리스도교. 공장은 새로운 생산수단인다. 그런데 앞에서 우리는 생산수단과 생산물이라는 물질적 가치가 비물질적인 사회적 관계로서의 권력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즉 공장이라는 생산수단을 소유한 B는 권력을 갖게 된 것이다. 이렇게 생산수단을 소유한 계급을 ‘부르주아’라고 부른다. 부르주아의 뜻 자체가 생산수단을 소유한 사람들을 의미한다. 부르주아는 다른 말로 자본가계급, 시민계급, 유산계급이라고도 부른다. 현실에서의 신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현실 세계를 설명해주는 역할이고, 다른 하나는 사후 세계를 주관하는 역할이다. 결국 부르주아는 왕을 정당화하는 신을 대신해 자신들을 정당화해주는 이성을 성공적으로 세계에 입성시켰다. 같은 맥락에서 부르주아는 자신들의 정치 참여를 정다화하기 위한 이론으로 사회가 자신들의 계약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사회계약설’을 지지했다. 이것은 신의 냄새가 남아 있는 ‘왕권신수설’을 대체하는, 신 없이 사회를 설명하는 방법이었다. 이제 정치권력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주체는 신이 아니라 인간 스스로가 된 것이다. 중세의 생산수단인 장원은 그대에 와서 공장과 자본이라는 생산수단으로 대체되었다. 생산수단이 변경되었으니 생산수단을 소유한 지배권력도 왕과 영주에서 부르주아로 이동했다. 자본주의의 특성은 ‘공급이 수요보다 많은 상태’다. 이는 다른 말로 공급과잉, 초과공급이라고도 부른다. 역사에서 “만약 그런 일이 없었다면 어땠을까?”라는 가정은 별로 의미가 없다. 사실 오늘날의 자본주의를 유지해주는 핵심 요소는 두 가지다. 하나는 전쟁이고, 다른 하나는 유행이다. 전쟁과 유행은 자본주의라는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쌍둥이 형제라 할 수 있다. 우리는 탄생한 지 20 - 30년 정도밖에 안되는 짧은 경제체제, 수천 년의 인류 역사를 고려할 때 매우 독특한 경제체제 속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역사를 움직이는 핵심 개념은 두 가지다. 생산수단과 공급과잉. 이 두 개념이 역사를 움직여왔다. 생산수단과 공급과잉은 공통점이 있다. 두 개념 모두 경제적 개념이라는 것이다. 2. 경제 정부의 개입이란 직접적으로 세금을 의미한다. 시장의 자유가 확대된다는 것은 정부의 개입이 줄어드는 것, 즉 세금이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시장자유 > 정부개입 = 세금감소, 복지축소
...